무료회원가입 | 로그인 | 고객센터 | 사이트맵
경리 실무 길잡이 이지분개 입니다. 세무/회계단체 분야 1위
경리인의 지식나눔터
세무회계 정보 및 지식을 나누어 보세요
답변 추천을 많이 받으신 추천 경리인께 매달 [모바일] 문화상품권을 보내드립니다.
내용보기
글목록 질문하기
 
 
손익계산서 답변 등록 1
koar***   2010-12-08 상태 완료 조회 1774

관리사무소에 근무합니다....

 

회계업무 처음입니다... 어렵습니다....

 

손익계산서를 보니 관리수입금액과 관리비용금액이 차이가 납니다..

 

금액이 같아야 되는걸로 들었습니다..

 

못찾겠습니다..어디서부터 찾아봐야 할런지요~

 

7월분부터 안맞는데 수정은 어찌해야 할런지요~

   답변 추천 횟수가 가장 많은 세분을 선정해 문화상품권을 보내드립니다. 댓글달기
 
 
정확성이 중요한 경리업무! 신뢰할 수 있는[전문가 질문과 답변]을 추천합니다!
 
 
RE : 손익계산서 답변 추천 0
kkam9***   2010-12-09 조회 1481

관리사무소에 근무합니다....

 

회계업무 처음입니다... 어렵습니다....

 

손익계산서를 보니 관리수입금액과 관리비용금액이 차이가 납니다..

 

금액이 같아야 되는걸로 들었습니다..

 

못찾겠습니다..어디서부터 찾아봐야 할런지요~

 

7월분부터 안맞는데 수정은 어찌해야 할런지요~

 

 

 

답변> 질문만으로는 답변을 드리기가 어렵습니다.

         

         아래의 내용을 참고하시고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참고 -

 

1. 먼저 손익 계산서일정기간(분기,1년)동안 매출액, 비용, 이익을 나태내 줍니다.

 

즉 가장 간단하게 "물건을 얼마 팔았는데 그중 얼마를 써서 실제로는 얼마 벌었다."

 

라는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2. 손익계산서 보는 방법

  손익 계산서란 회계기간동안(1분기,1년) 매출액, 비용, 이익을 나타내는 보고서 입니다. 쉽게말해서 1년동안 얼마를 써서 얼마를 벌었는지를 의미 합니다.

 옆에 있는 손익계산서는 포털 사이트 네이버와 한게임을 운영하는 (주)NHN의 손익 계산서 입니다. 앞으로 (주)NHN의 재무제표를 예로 삼아 설명을 해 보겠습니다.

  

일 위에 있는 매출액은 우리가 생각하는 개념 그대로 회사가 서비스나 상품을 팔아서 번돈 입니다.

 

 

  밑에 있는 매출 원가상품을 팔때 들어간 재료비를 의미 합니다. 쉽게 생각해서 나무 책상을 팔았다면 나무책상을 만드는데 들어간 나무 가격이고 빵집이라면 빵을 만들때 들어간 밀가루 외 기타 재료가격입니다.(밑에 보면 인건비, 판매비 등이 있는 거 보이시져?? 말그대로 인건비라든지 광고비를 가 아닌 순수하게 제품을 만들때 씌인 원료 가격을 의미 합니다.)

 

((주)NHN의 손익계산서)

 

매출 총이익은  매출 총이익 = 매출액 - 매출 원가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즉 순수하게 원료비를 제외하고 회사가 얼마를 벌어 들였나 하는 것을 의미 합니다.

  

그 밑에 있는 판매비와 관리비물건을 팔때 들어가는 여러 경비 의미 합니다. 예를 들어 직원 급여, 보너스, 복리후생비, 여비교통비, 통신비, 광고 전선비, 접대비, 지급 수수료, 감가상각비, 수선비, 임차료, 세금과 공과, 보험료, 회의비, 도서인쇄비, 기타 등등,,, 상상할 수 있는 모든 판매와 관련된 비용이 포함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판매비와 관리비 밑에 3줄은 한칸 띄우고 시작되었는데요. 이건 판매비와 관리비 중 일부 항목을 표시해 놓은 것입니다. 인건비와 감가상각비, 연구개발비용이 판매비와 관리비에 포함 되어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사항은 제조원가명세서라는 별도 보고서에 상세히 기록 되어 있습니다.

 

(감가상각비 란?? 회사도 재테크하기 위해서 또는 필요에 의해서 땅이나 다른 회사의 주식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모두가 알듯이 이 주식이나 땅 값이 일정한 것이 아니고 들쭉나쭉하지 않습니까? 이때 전년도 재무 재표에 썼던 가격 보다 오르거나 내린 가격 만큼을 감가상각비 항목으로 빼는 것입니다.

 ex) 05년 A회사 B공장부지 가격 10억  -> 06년 A회사 B공장부지 가격 8억원 --> 08년 손익 계산서 감가상각비 비용 -2억원 --> 요론 식입니다.)

 

그 밑에 있는 영업 이익은 영업이익 = 매출총이익 - 판매비와 관리비로 계산 되어 집니다.

즉 매출액에서 실질적으로 기업의 본연에 업무 즉 순수하게 장사를 해서 번돈을 의미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 밑에 EBITDA라는 항목이 있는데 이건 끝에 가서 설명 하도록 하겠습니다.

 

그 밑에는 영업외 손익 이라고 있습니다. 이것은 개인으로 치면 재테크를 해서 번돈이라고 생각 할 수 있습니다. 공무원에 다닌사람이라면 공무원일을 해서 받는 급여가 영업이익이라면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돈으로 주식을 산다던지 집을 사서 남에게 월세를 받는 다던지 해서 얻는 수입이 기업에서는 영업외 수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 돈을 빌렸을 경우의 이자 비용이나 천재지변등으로 일어난 사건을 해결하기 위한 비용 등등 장사와 무관하지만 회사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금액역시 포함 되어 있습니다.

 영업외 손익 밑에 역시 한칸 띄고 써놓은 것을 볼 수 있는 데여 이것도 위에 언급한 것처럼 영업외 손익 항목들 중 주요내용을 나열해 놓은 것입니다. 순 금융비용, 유가증권관련손익, 외화관련손익, 지분법손익등이 있는데여 개개인의 항목이 의미 하는 것을 알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냥 보는 것과 비슷한 의미가 있습니다. 순 금융비용은 이자에 관한 비용이고, 유가증권관련손익은 주식,채권투자에 관한 손익, 외화관련손익은, 기업이 보유하고 있던 외화의 가치변화나 수출,수입가의 가치변화에 따른 손익, 지분법손익은 자기회사의 자회가의 주식변동 손익을 의미 합니다.)

 

그 밑에 있는 세전 계속사업 손익은 세전 계속사업 손익 = 영업 이익 +영업외 수익 - 영업외 손실

 

로 구할 수 있습니다. 아!!! 예전에는 경상이익이라는 말을 썼었는데 몇년전부터 용어가 바뀌었습니다.

 

그 밑에 있는 법인세 비용은 장사를 하고 번돈에 따른 세금을 낸다고 쉽게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 밑에 계속 사업 손익과 중단사업 손익이 있는데

먼저 계속 사업 손익은   계속사업 손익은 = 세전 계속사업 손익 - 법인세 비용

 

이 되고 중단사업 손익 회사가 중단한 사업이 있을 경우 이를 처분한 손실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A라는 회사가 빵과 과자를 만들었는데 빵이 안팔려서 빵을 안팔기로 결정하고 빵만들던 기계나 재료등을 모두 처분했을때 나온 손익을 의미 합니다.

 

밑에 법인세 효과는 세금과 연관있는 부분으로 일반 재무제표를 볼때는 가볍게 무시해주셔도 되는 부분입니다.(평상시에는 잘 나오지도 않고 그 액수도 대부분 무시할 정도로 미미한 액수 입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대망에 당기 순이익이 있습니다.

 

당기 순이익 순수하게 회사의 매출액에서 나간돈 다 빼고 남은 이익을 의미 합니다. 진정한 의미에 수입이라고 말 할 수 있습니다.

 

위에 나왔던 EBITDA의 의미를 말씀드리면 영어로(Earnings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법인세 이자 감가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으로 순수하게 기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이는 수익을 알기위해 쓰는 지표입니다. 주로 주식투자 하는 분들이 유용하게 쓰는 지표 입니다..

   충분한 답변이 되었나요? 다른 회원님을 위해 답변을 추천해 주세요. 답변추천
 
 
 
사업장소재지 : 서울시 강남구 역삼로 204 (역삼동) 604호ㅣ부산시 해운대구 해운대해변로 257, 1601호 (하버타운) (주) 비즈폼
TEL : 051-553-4954ㅣE-mail:ezbungae@ezbungae.com(이메일 무단수집거부)ㅣ개인정보책임자 : 유상길
사업자등록번호 : 605-81-38178ㅣ법인등록번호 : 180111-0323252ㅣ통신판매업 신고번호 : 제2002-29호 | 대표이사 : 이선규
copyright by INBEE.COM All right reserc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