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문가 Q&A 실무 경력 10년 이상의 전문가가 24시간 내 답변을 드립니다! |
 |
 |
 |
|
|
|
|
 |
|
 |
|
비상장 주식회사의 증자에 대하여 |
답변 만족도 |
-
|
|
amane*** |
 |
2003-10-15 오후 12:06:55 |
첨부 :
-
|
상태 |
 |
|
조회 |
 |
1,739 |
|
|
|
비상장 주식회사의 증자에 대한 문의를 올립니다.
A : 현재의 대표이사 (무보수 비상근) - 지분없음
B : 이사 1 (무보수 비상근) - 지분율 50프로
C : 감사 (무보수 비상근) - 지분율 30프로
D : 이사 2 (무보수 비상근) - 지분율 20프로
* 보통주 액면가액 5000원, 자본금 5000만원으로 설립
X : 10월이나 11월 대표이사직으로 등재될 예정
(무보수 비상근) - 지분없음
E : 내년상반기
보수직 상근 대표이사직으로
들어올 예정,
A는 보수직 상근 이사나 상무직으로 변경
X는 무보수 비상근 이사나, 임원에서 제외
F : 사무직원 (상시근로자) - 지분없음
G : 사무직원 (상시근로자) - 지분없음
B C D 는 계속 무보수 비상근 이사, 감사직 유지
* 관계에 대하여
C와 E는 부부, C와 F는 누나와 남동생 사이
E와 F는 매형과 처남, E와 D는 형과 아우 사이
B와 E는 장인과 사위, B와 C는 아버지와 딸 사이,
B와 F는 아버지와 아들,
* 12월 경 2억원을 증자예정
E는 현재 지분이 없으나 2억을 증자하는 과정에서
경영권을 확보하기 위하여
자신과 부인 C, 남동생 D의 지분율을 합쳐서
50프로 정도로 가지고자 함.
현재 최대주주인 장인 B의 지분율이 낮게 조정됨.
실질적으로 증자금액은 전부 E가 부담함.
타인자본(협력회사)도 2개 회사 정도 참여하여
10프로 정도 들어올 예정.
이 경우 증자하면서 어떤식으로 지분율을
구성해야 할까요? 특수관계인 경우라서
양도나 증여에 해당되어 세금을 물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과점주주가 되는게 아닌지요
혈연관계가 아닌 A나 X, G 등에게 지분을
부여해서 과점주주가 되는걸 피해야 하는지...
(스톡옵션?)
이러한 형태의 비상장 주식회사 증자와 관련해서
지분율 구성, 주금 납입 과정 등에 대하여
총체적인 답변을 듣고 싶습니다.
|
|
|
|
|
 |
|
 |
|
|
|
|
|
|
|
|
|